728x90
반응형
유니티로 안드로이드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, 디버깅을 위해 로그를 확인해야 할 때가 많다. 이때 안드로이드 로그캣(Android Logcat)을 활용하면 실시간 로그를 확인하고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.
1. 로그캣이란?
로그캣(Logcat)은 안드로이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로그를 출력해주는 도구다. 시스템 로그, 앱 로그, 에러 로그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디버깅에 매우 유용하다.
2. 유니티에서 로그캣을 사용하는 이유
- 유니티 Debug.Log() 호출 결과도 로그캣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- 앱 실행 중 크래시나 ANR 발생 원인을 추적할 수 있다.
- adb logcat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.
- 유니티 에디터 내에서 바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.
3. Android Logcat 설치 방법
패키지 매니저에서 설치
- 유니티 에디터 상단 메뉴에서 Window > Package Manager로 이동한다.
- 좌측 상단의 Packages: Unity Registry로 설정한다.
- Android Logcat을 검색하고 설치한다.
⚠️ Unity 2019.1 이상에서만 공식 지원된다.
4. 로그캣 창 열기
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로그캣을 실행할 수 있다.
- 메뉴에서 Window > Analysis > Android Logcat을 선택한다.
- 새 창이 열리면, 연결된 안드로이드 기기의 로그가 실시간으로 출력된다.
5. 로그캣 사용법
- Android 기기에서 개발자 옵션 > USB 디버깅 활성화
- USB 케이블로 PC와 Android 기기 연결
- Unity에서 Build & Run 또는 ADB를 통해 실행
6. 로그 확인
- 장치 선택: 연결된 디바이스 목록에서 로그를 보고 싶은 기기를 선택한다.
- 앱 필터링: 특정 패키지명(예: com.company.gamename)으로 로그를 필터링할 수 있다.
- 로그 레벨 설정: Verbose, Debug, Info, Warning, Error 등 원하는 수준의 로그만 볼 수 있다.
- 검색 기능: 로그 내용에서 특정 키워드(예: NullReferenceException)로 검색할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Un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ty 외부 링크 열기 (1) | 2024.12.04 |
---|---|
Unity GetComponent의 종류와 최적화 방법 (0) | 2024.07.22 |
코딩 표기법 (카멜, 파스칼, 헝가리안, 스네이크) (0) | 2024.07.19 |
Dictionary, Hashtable, HashSet의 비교와 사용법 (3) | 2024.07.14 |
Serializable과 SerializeField의 역할과 활용 (0) | 2024.07.09 |